혁신도시가 주는 미래상과 생활환경을 알아보고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쇠퇴하고 있는 구도심을 지역 주도로 살려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고, 청년창업과 혁신성장의 기반을 조성하여 일자리 창출하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혁신도시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산, 학, 연, 관이 서로 협력하여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 높은 생활환경을 갖춘 새로운 미래형 도시이다. 혁신도시의 미래상에는 지역 발전을 선도하는 혁신거점도시, 지역별 테마를 가진 개성 있는 특성화도시, 학습과 창의적 교류가 가능한 교육. 문화도시, 누구나 살고 싶은 친환경 녹색도시이다. 혁신도시의 특징을 보면 혁신클러스터 형성기반 마련 및 공공기관 이전으로 자족성확보, 녹지확보, 도시통합 이미지 공원 복지 확보를 통한 환경 경관중심의 도시 이미지 형성, 대중교통 중심의 범죄예방 디자인 기법 도입으로 안전한 도시 구현, 인간의 창의성 활동을 루 위한 복합개발 유도 및 school complex 도입으로 특성화된 도시를 유도한다. 강원혁신도시는 강원도 원주시 반곡동 일원에 11,932세대를 고급하는데 치악산의 풍경을 담은 BLOOMING도시 활기 넘치는 Vitamin city 개발방안으로 도시견관을 치악산 동경축 확보 입춘내천 수변공원 조성 반곡역(등록문화재) 문화공간 활용. 생태환경구상으로 치악산국립공원 광역녹지를 구도심에 전달/낙지다리 자생지 보존/양호한 산림축 보존. 혁신클러스터구상으로 의료서비스 지원군/휴양관광 기능군/건강한 삶과 연관된 클러스터 구축. 제주혁신도시 제주시서귀포시 서호동 일원에 국제자유도기를 선도하는 국제교류/연수도시 어디서나 느끼는 고품격 문화도시 친구/친녹의 천정환경 생태도시를 국제교류와 연수폴리스 도시로 국제교류. 연수구산으로 국제교류/거점기능 육성 주변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연수/휴양시설강화, 중앙공원과 연계한 인프라 및 서비스 기반 구축. 문화도시 역사성이 살아있는 도시경관, 지역주민이 공유하는 문화공간 조성, 감성체감형 문화네트워크 구축. 생태도시로 제주도의 독특한 자연 풍관 조성, 기존 환경요소를 활용한 풍부한 친수/녹지공간 확보, 자원절약형 도시환경 조성대구혁신도시는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일원에 위치하여 7,660세대가 들어선다. 자연과 지식정보가 숨 쉬는 多줄기 도시 지식창조 혁신 도시 Brain City 도시경관구상으로는 초례봉 자락 9 산줄기) 저수지 세천 보존(물줄기) 대구시 동측 관문(교통줄기) 생태환경구상으로는 하천, 저수지 등 생물서식 와 팔공산자락 생태 보전, 바람길(통로) 조성 혁신클러스구상은 교육학술 클러스터, 산업지원 클러스터, 공공지원 지식창조를 위한 미래형 도시이다.
2. 도시재생뉴딜사업
도시재생뉴딜사업이란 쇠퇴하고 있는 구도심을 지역 주도로 살려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고, 청년창업과 혁신성장의 기반을 조성하여 일자리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도시재생뉴딜사업 추진방향은 주거복지, 삶의 질 향상으로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 환경 정비로 선진국 수준의 기초 생활인프라 공급과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활성화, 주거 젠트리피케이션 완화 및 공적임대 공급하여 도시활력 회복으로 구도심을 혁신거점으로 조성하여 콤팩트 네트워크 구축과 복합기능의 혁신공간 조성, 지역 특화 스마트형 도시재생뉴딜 활성화한다. 일자리창출로는 도시재생 경제 생태계 조성으로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지원하고 민간참여 모델 마련하며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일자리 창출 관리를 한다. 공동체회복 및 사회통합은 풀뿌리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과 상가 내물림 현상에 선체적 대응으로 지역의 도시재생 역량강화, 지역주민의 참여 기반조성, 지역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체계구축 상생협약 체결 활성화 지원, 임대료가 저렴한 임대상가 공급한다. 도시재생의 주요 목표로는 노후 도심 재생으로 기존의 노후화된 주거지, 상업 지역, 인프라를 개선하여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내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일자리를 창출하여 경제적 자립을 지원한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단순히 물리적 개발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특성과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도시를 재탄생시키려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3.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유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유형은 대상지역의 특성, 사업규모에 따라 5가지로 구분합니다. 첫째로 우리 동네 살리기형으로 규모가 작고 낙후된 주거지를 중심으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기초 인프라를 보강하여 주민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두 번째는 주거지 지원형은 노후 주거지를 개선하고,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을 기반으로 새로운 주거지와 생활 편의시설을 확충합니다. 세 번째는 일반 근린형 주거와 상업이 혼재된 지역에서 상업 활성화 및 주민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네 번째는 중심 시가지형은 상업 중심지가 쇠퇴한 경우, 상업 활동과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여 지역 경제를 부흥시키려는 유형입니다. 다섯 번째는 경제 기반형은 규모가 크고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에 새로운 경제 거점을 조성하여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하 고 경제 기반을 재건합니다. 주민 참여로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지역 맞춤형 재생을 목표로 합니다. 이로 인해 주민의 만족도와 주인의식이 높아지며, 사업의 지속 가능성이 강화됩니다.
'동네 부동산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도시 조성 및 3기 신도시의 주요 특징 (4) | 2024.11.06 |
---|---|
신도시 입지분석 (0) | 2024.11.05 |
도시문제와 생태도시의 입지분석 (1) | 2024.11.01 |
업무용 부동산의 입지이론 (2) | 2024.10.30 |
상업용부동산의 도움요소와 저해요소 (1) | 2024.10.30 |